728x90

정의 : 파일 처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장한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

 

 

[파일 시스템의 문제점]

데이터 독립성 보장 미흡 : 파일의 구성 방법이나 접근 방법을 인지해야 처리 가능

데이터 일관성 보장 문제 :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가 서로 다르게 보관

데이터 무결성 보장이 곤란 : 중복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가 어려움

공유성 및 사용 편의성 저조 : 프로그램별로 자신만의 파일을 별도로 관리

낮은 경제성 : 데이터의 중복 보관, 저장 공간 및 갱신 비용 증가

보안 관리 곤란 : 동일 데이터에 대한 보안 등급 상이

 

 

[DBMS의 궁극적 목표]

물리적 독립성 : 디스크 블록, 실린더, 바이트, 데이터 항목의 위치와 같은 물리적 구성에 대한 종속성을 제거

접근의 독립성 : 프로그램으로부터 요구되는 레코드와 파일의 탐색과 접근을 위한 접근 경로를 제거

데이터의 독립성 : 데이터가 프로그램 언어, 운영 체계와 처리 환경으로부터 분리

 

 

[DBMS의 특징]

중복성 통제 : 데이터의 사전 검증을 통해 중복된 데이터를 최소화함으로써 데이터의 저장, 개발, 성능 및 유지보수 측면에 장점을 갖게 됨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 중앙 집중식 통제로 동일한 사실을 표현하는 데이터들 간의 불일치를 방지하고 동질성을 보장

메타 데이터 : 데이터의 관계나 특성들이 메타 데이터에 저장, 이런 메타 데이터의 관리로 관련 프로그램들의 수정 없이 데이터의 구조적 변경이 가능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처리 : 데이터 간 복잡한 관계를 DBMS가 처리해 줌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처리가 좀 더 용이함, 대부분의 DBMS는 다중의 사용자를 위해서 다양하고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

데이터의 정합성 보장 : DBMS는 입력이나 갱신 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사용된 데이터가 규칙에 위배되지 않는 정확한 값인가를 검사하여 유효한 데이터만 허용, 이처럼 데이터 정합성을 검증하므로 모든 데이터는 정합성을 유지함

백업 및 복구 기능 : 보관된 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데이터의 복제본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백업 기능 제공, 또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백업 기능으로 생성된 복제 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시킬 수 있는 복구 기능 제공

질의 처리 :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질의를 수행할 경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

보안 기능 :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허용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처리 가능한 데이터를 확인 및 검사함으로써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DBMS의 단점]

백업 복구의 어려움

고성능 하드웨어 및 고가의 DBMS 구입 비용과 장애에 대한 사전 대비를 위한 백업 및 복구 비용이 큼

 

 

[DBMS의 언어]

사용자가 데이터를 정의하고 조작하기 위하여 DBMS에서 제공하는 언어 = SQL

데이터 정의어(DDL) : 데이터 정의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오브젝트가 정의되며 데이터베이스의 메타데이터로 저장, 각 DBMS 마다 많은 데이터 정의어들이 존재, 데이터 테이블 생성(Create Table), 테이블 변경(Alter Table) 및 테이블 삭제(Drop Table)이 존재

데이터 제어어(DCL)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올바르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데이터 무결성 또는 보안에 대한 작업을 수행,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기 보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사용, 권한 부여(Grant) 및 권한 해제(Revoke)등이 존재

데이터 조작어(DML) :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입력, 수정 및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작업에 맞는 DML을 이용, DML은 INSERT(입력), UPDATE(수정), 및 DELETE(삭제)를 의미

데이터 검색어(Query)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하는 SQL 언어, 데이터 검색어로는 SELECT를 사용

 

 

[관계형 DBMS(RDBMS) 종류]

객체 지향 DBMS : ObjectStore, Open ODB 및 Versant

객체 관계 DBMS : Universal Server가 존재, 오라클은 보완된 기능으로 객체 관계 DBMS의 형태를 갖춤

 

 

[오라클 버전 및 제품군]

오라클 엔터프라이즈 에디션(Enterprise Edition) : 단일 시스템 환경뿐만 아니라 클러스터 환경을 지원하며 많은 수의 사용자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운영을 위한 기업용 버전

오라클 스탠다드 에디션(Standard Edition) : 오라클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중, 소규모 비즈니스 및 부서 단위 환경을 위한 버전

오라클 퍼스널 에디션(Peronal Edition) : 오라클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의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는 개인용 버전이며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개인 사용자 버전

오라클 라이트 에디션(Lite Edition) : 모바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배포 및 관리를 위한 버전

오라클 익스프레스 에디션(Express Edition) : 개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버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