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준비물

설치할 Windows OS

웹 브라우저(chrome, explorer 등)

 

 

설치 방법

구글 및 네이버에서 virtual box 검색, 구글 검색 결과 혹은 https://www.virtualbox.org 직접 접속

 

네이버 검색 결과

 

메인 페이지 Download 선택

 

Windows hosts 선택

 

다운받은 파일 실행

 

Next 선택

 

설치 위치 지정 후 Next

 

원하는 설정 체크 후 Next(필자는 맨 처음 및 맨 아래 것만 체크)

 

너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reset 하여 연결 끊어진다는 소리, Yes 선택

 

Install 

 

진행중인 상태

 

완료 후 Finish로 마무리

'가상화 > virtualb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box 6.1]Virtual Box Network 설정  (0) 2022.05.03
공유 디스크 설정(미완)  (0) 2022.04.14
[virtualbox 6.1]Virtual Machine 생성  (0) 2022.04.14
728x90

네트워크 설정 종류

설정 가능한 종류는 아래와 같은 종류가 존재

 

 

각 네트워크 별 설명

Host OS : 현재 사용중인 윈도우 서버(ex 내 PC)

Guest OS : 모든 가상 서버(ex 가상 머신으로 생성된 OS)

 

1. NAT 방식

Guest OS에 전부 같은 IP를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 Guest OS는 외부 통신 가능, Guest 끼리 통신 불가능

VMware의 NAT와 같은 기능이 아니므로, 추후 테스트 서버 구축시에는 사용하지 않음

 

2. 어댑터에 브리지

Host OS와 동일 네트워크로 설정하는 방식, 유무선공유기에서 DHCP서비스 중이라면, 공유기 내의 네트워크 대역의 ip를 할당 받아서 사용하게 됨, 가장 빠르고 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식

 

3. 내부 네트워크

외부통신 불가(=인터넷 불가), 호스트 및 게스트 통신 불가, 가상머신의 통신만 가능

 

 

4. 호스트 전용 어댑터

Host와 Guest간 통신 가능, 외부 인터넷은 불가

Host에서 Guest로 putty나 ftp 설정 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5. NAT 네트워크

외부 통신 및 Guest OS간 통신 시 설정하는 방식, 여러 Guest 서버에서 외부 통신 및 Guest OS 간 통신이 필요한 경우 설정

 

 

실제 실습에 많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설정

1. NAT 네트워크(Guest 외부 통신 및 Guest 간 통신용)

2. 호스트 전용 어댑터(Host와 Guest 간 통신용)

3. 어댑터에 브리지(Host와 동일 네트워크 대역대 사용)

728x90

공유 디스크 설정

ip나 ftp를 통한 파일 전송을 잘 모를 때, 사용하면 유용한 방법

실제 업무에서는 이런 공유 디스크가 있지 않으므로, 가급적 ftp나 scp를 통한 파일 전송 방법을 숙지하길 권장

공유 디스크 활성 전 게스트 확장 CD를 삽입하여 설치 필요

 

CD 삽입 시, 리눅스 기준 아래처럼 CD가 생성되며 실행여부 확인 창 생성

 

내부에서 생성 관련 메세지가 나오며 정상적으로 완료됨

 

728x90

Virtual Machine 생성하기

Virtual Machine을 생성하는 것은 CPU, memory, HDD를 가지고 PC를 조립하는 것과 동일한 원리

조립된 PC를 파일로 저장하여 관리

 

Virtual Box를 실행 후 새로만들기 선택

 

이름 지정, redhat7.9를 예시로 작성 시, 이름에 redhat만 작성해도 종류 및 버전이 자동완성됨

리눅스 버전이나 종류가 다른 경우 해당 버전에 맞게 선택

 

가상머신 파일이 생성되는 장소는 머신폴더 -> 기타 선택하여 지정

 

메모리 크기 설정, 일반적으로 리눅스는 1~1.5G, Windows는 1.5~2G정도를 추천(512M가 최소 요구사항이나 서비스나 다른 application을 실험하는 정도라면 RAM크기가 더 필요) 

 

가상 하드디스크 추가

 

디스크 파일 종류 선택, 종류에 따른 큰 차이 없음, 특수하게 맞춰야 할 것이 아니면 VDI 선택

 

동적 할당 선택, 공유 디스크 등의 특수 목적 아니라면 동적 할당 선택

 

디스크 위치 및 크기 선택 후 만들기

 

생성된 파일 확인 시, 동적 할당으로 인해 실제로는 90G를 차지하지 않음

 

 

가상머신 설정 변경

필수 사항은 아니나 설정 시 편리한 경우가 많으니 원하는 경우 설정하여 사용

생성한 가상 머신 우클릭 -> 설정 혹은 상단의 설정 클릭

 

일반 -> 고급 탭 -> 클립보드 및 드래그 앤 드롭 설정(양방향)

 

가상 머신을 운용하는 실제 PC가 여유가 있다면 프로세서 개수 조절

 

설치할 iso CD 삽입 방법, 저장소 -> 컨트롤러:IDE의 CD 모양 선택 -> 광학 드라이브 -> 디스크 파일 선택

 

다운받은 .iso 파일 선택

 

오디오 사용 체크 해제

 

네트워크 선택, 네트워크는 링크 참조 https://peryh.tistory.com/57?category=966798

 

공유 디스크 설정,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조 https://peryh.tistory.com/51?category=966798

 

시작버튼으로 부팅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