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준비물

Oracle Linux 7.9(Server GUI 설치 완료)

 

 

정의

X-Windows는 X 서버와 X클라이언트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지향 시스템으로

원격지의 X 클라이언트를 다른 시스템의 X서버에서 실행할 수 있음

이를 위해서 X서버에서 원격지 X클라이언트가 실행될 수 있도록 허가해 주어야 함

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xhost이고, 클라이언트에서 환경변수 DISPLAY를 지정하여 설정하게 됨(혹은 자동 설정)

 

설정 방법

패키지 설치가 필요

yum -y install xorg*

 

 

해당 패키지 설치 완료 후 root 계정으로 xclock 실행, x-windows가 지원되는 원격 접속 툴 사용해야 함(mobaXterm, xshell 등)

xclock

 

DISPLAY 변수 확인

root유저는 localhost:10.0 으로 DISPLAY가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이 숫자는 변경될 수 있는 값)

echo $DISPLAY

 

xauth 등록정보는 OS user의 홈 디렉터리 내부에 숨김파일로 존재

 

내부 Xauthority값은 아래 명령어로 확인 가능, xauth list에 등록된 값이 DISPLAY 변수에서 쓸 수 있는 포트값

xauth list
xauth list $DISPLAY
echo $DISPLAY

 

다른 사용자가 X-Windows를 사용하게 하려면 모든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게 허용 xhost +

xhost             #현재 설정된 접근 목록 출력
xhost +          #모든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허용
xhost -           #모든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차단
xhost + ip      #지정한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허용
xhost - ip      #지정한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차단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하고 접속

useradd test
passwd test
test

 

처음 접속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발생

확인 시, 실제적으로 파일은 존재함(아마 접속과 동시에 생성된 것 같음)

 

DISPLAY 값이 자동으로 설정이 되어 있다면

 

xclock 사용 시 정상적으로 X-Windows가 생성됨

 

혹은 자동설정이 되어 있지 않아, 열린 포트를 확인하고 싶다면 직접 쳐서 확인,

열린 포트가 아니라면 unable to open 메세지 발생함

xdpyinfo -display :0
xdpyinfo -display :1
xdpyinfo -display :11

728x90

준비물

Oracle Linux 7.9 환경

 

 

오류 원인

디스크 장치 추가 후, 파티션 생성 및 포맷 설정 완료 후에 auto mount 설정 시,

/etc/fstab 파일 설정을 잘못하여 OS에서 디스크 인식을 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

 

정상적으로 기입된 fstab 내용

 

설정 오류 만들기(일부 내용 제거)

 

재부팅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발생

 

해결 방법

root password를 입력하여 prompt 접속

 

현재 상태는 read-only 상태여서 수정이 불가능함

최상위 디스크를 다시 remount 후 수정

mount -o remount, rw /
vi /etc/fstab

 

다시 정상적으로 입력

 

이후 재부팅하면 정상적으로 부팅 가능

reboot

 

디스크 정보 확인

df -h

728x90

준비물

오라클 리눅스 ISO 파일

Virtual Box 설치 완료

 

 

Virtual Box 설치

새로 만들기 선택

 

머신 이름 및 위치 지정, 종류 및 버전은 이름 작성 시,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다른 경우 수동으로 변경. 이후 다음

 

메모리 크기 설정, 여기서는 4G로 지정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 선택, 만들기 클릭

 

하드 디스크 파일 종류 선택, 특이사항 없으면 VDI로 선택

 

상황에 맞게 선택, 여기서는 동적 할당 사용, 일반적으로 동적 할당 사용

 

하드 디스크 이름 및 크기 설정, /oracle 디렉터리 30G, swap 4G, /boot 1G, / 15G 할당 예정

초기 디스크라 네이밍 맨 마지막을 main으로 생성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설정 클릭

 

네트워크 탭의 어댑터 1에 설치하려는 Guest OS가 외부와 통신을 위한 NAT 네트워크 설정

 

어댑터 2에 설치하려는 Guest OS가 사용중인 PC(HOST OS)가 서로 통신을 위한 호스트 전용 어댑터 설정

 

※참고※

NAT 네트워크의 이름 부분에 있는 네트워크 설정은 파일(F) -> 환경 설정(P)

 

네트워크 탭의 NAT 네트워크 더블 클릭하면 해당 설정이 나타남

 

호스트 전용 어댑터는 파일(F) ->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H) 선택

 

만들기 및 삭제로 원하는 IPv4 주소 생성 및 마스크 착용 여부 설정 가능

 

오디오 사용 안함

 

저장소에 다운받은 CD 삽입 후 확인

 

상단의 시작버튼 클릭, 혹은 시작 -> 일반 시작 선택

 

오라클 리눅스 메인 화면, 상단의 install 선택 후 엔터

 

언어 설정 페이지, 한국어 혹은 영어로 설정, Continue

 

설치 전 세부 항목 존재, SOFTWARE SELECTION 선택

 

Server with GUI 선택 및 라이브러리와 개발툴 선택 설치(필수 X, 참고사항)

 

파티션 설정

 

디스크 선택 및 파티셔닝 설정 선택

 

Standard Partition 혹은 LVM 등 원하는 파티션 선택

 

여기서는 Standard 선택하고 디스크 구역 설정을 위해 아래 +를 클릭

 

swap을 4GB(=4096MB)로 주고 Add

 

/oracle 30720, /boot 1024로 생성 후 남는 용량은 Desired Capacity를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Add

 

완료된 결과. Done 클릭

 

변경 요약 정보, Accep Changes 클릭

 

KDUMP와 SECURITY POLICY는 사용 안함으로 설정

 

NETWORK & HOSTNAME 설정

 

NatNetwork 인터페이스 선택, Host name 및 ON, Configure 선택

 

자동 연결 선택

 

IPv4 Settings 탭의 IP 설정, NAT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대역으로 설정, Gateway는 해당 대역의 1번 설정

 

호스트 전용 어댑터 네트워크 설정, 위와 동일하게 하되, 외부 통신을 하지 않기에 Gateway 작성 필요 없음

 

이후 Done 

 

 Begin Installtion 클릭하여 설치 시작

 

 ROOT(관리자) 패스워드 지정하기 위해 ROOT PASSWORD 선택

 

비밀번호 root로 지정, 너무 짧은 비밀번호라고 에러가 발생하지만 Done 두번 클릭하여 해결

 

테스트 계정 생성(필수 X), USER CREATION 선택

 

전부 다 test로 입력 후 Done 두번

 

설치 완료 시  Reboot 클릭

 

라이선스 동의를 위해 LICENSE INFORMATION 선택

 

라이선스 동의 및 Done

 

설정 완료 선택 시 모든 설치 완료

728x90

Local Repository 이해

[기본 용어]

Repository : Package를 모아놓은 저장소

Package : 리눅스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실행 파일, 설정 파일, 라이브러리 등)이 담겨 있는 설치 파일 묶음, 종류로 소스패키지(Source Package)와 바이너리 패키지(Binary Package)가 존재

 

 

Local Repository 생성(root user로 수행)

CD-Rom에 iso 이미지 넣은 후 cdrom 파일 정보 확인

ls -l /dev/ | grep sr0
lrwxrwxrwx. 1 root root           3 May  4 09:15 cdrom -> sr0
brw-rw----+ 1 root cdrom    11,   0 May  4 09:15 sr0


mount 디렉터리 생성 후 mount

mkdir /repo
mount /dev/sr0 /repo

 

mount 정보 확인

df -h
/dev/sr0        9.3G  9.3G     0 100% /repo

 

local repository를 위한 환경 설정

8 버전은 package 위치가 BaseOS / AppStream 양쪽에 존재

cd /etc/yum.repos.d/
vi local.repo
#########################
[InstallMedia-BaseOS]
name=Redhat Linux 8 - BaseOS
baseurl=file:///repo/BaseOS/
enabled=1
gpgcheck=0

[InstallMedia-AppStream]
name=Redhat Linux 8 - AppStream
baseurl=file:///repo/AppStream/
enabled=1
gpgcheck=0

 

yum repolist 정보 수정 및 확인

yum clean all
yum repolist
=====================================================
repo id                            repo name
InstallMedia-AppStream      Redhat Linux 8 - AppStream
InstallMedia-BaseOS          Redhat Linux 8 - BaseOS
ol8_UEKR6                       Latest Unbreakable Enterprise Kernel Release 6 for Oracle Linux 8 (x86_64)
ol8_appstream                  Oracle Linux 8 Application Stream (x86_64)
ol8_baseos_latest              Oracle Linux 8 BaseOS Latest (x86_64)

 

728x90

ISO(설치CD) 다운로드 방법

redhat 7 download를 검색 혹은 https://developers.redhat.com/ 사이트 접속하여 Products -> 하단의 View all products 클릭

 

Red Hat Enterprise Linux 하단의 Download now 클릭, 이 화면은 Red hat이 홈페이지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짐

사진의 시점은 20220408일 촬영 시점

 

DVD ISO 다운로드(Red Hat 계정 로그인 필요)

바이너리 DVD : 전체 설치 이미지로 설치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추가 패키지 리포지터리없이 전체 설치를 수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boot.iso : 최소 부트 이미지로 설치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있지만 설치할 소프트웨어가 있는 추가 패키지 리포지터리에 액세스해야 합니다.

 

 

레드햇 설치

설치 가이드 :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ko-kr/red_hat_enterprise_linux/7/html-single/installation_guide/index

공식 설치가이드를 읽어서 설치하길 권장, 시간 관계상 테스트를 위해 빠르게 파악하고 설치하기 위한 목적의 글

설치 전 vmware 세팅 https://peryh.tistory.com/45?category=966797 참고

Power on the virtual machine 이후 Install Red Hat 선택

Test this Media & install은 CD테스트 후 설치하기에 시간이 소요되어 선택하지 않음

 

중간 로딩 과정

 

언어 설정(한국어를 원하면 korean 검색하여 한국어로 설치)

 

소프트웨어 선택

 

GUI 선택 후 Done , GUI 선택해야 설치 후 부팅 시 그래픽 환경으로 나오게 됨

 

디스크 설정

 

수동으로 직접 설정, i will 선택 후 Done

 

파티션 설정, Standard 혹은 LVM중 선택 권장

 

Standard -> + -> Mount Point : swap / Desired Capacity : 물리메모리 크기만큼 할당(MB 단위)

Swap 크기 설정에 대한 것은 https://websetnet.net/ko/how-much-swap-should-you-use-in-linux/  참조

 

Standard -> + -> /

필요에 의해 /home, /boot등을 설정 할 수 있겠지만, 간단한 테스트 용도라면 이정도만 설정 후 설치 권장

 

설정 완료 후 Done

 

변경사항 적용

 

사용하지 않는 것은 자원 절약을 위해 모두 해제, KDUNP 클릭

 

KDUMP 해제

 

보안정책 클릭

 

적용해제 후 Done

 

네트워크 설정

 

Host name 지정 -> Apply(변경한 hostname 적용) -> Ethernet(ens33) ON으로 변경 -> Configure 선택

 

IPv4 Settings -> Manual -> Add -> Address, Netmask, Gateway 입력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내용은 https://peryh.tistory.com/44?category=966797 참조

 

필수사항은 아니나 랜카드가 2개 이상인 경우 필요한 옵션, 해당 옵션을 선택하지 않을 시, 서버 재부팅 시 해당 랜카드는 활성화 되지 않음

General -> Automatically ~ 선택 -> Save

 

설정 확인 후 Done

 

설치 시작

 

root계정 비밀번호 설정 클릭

 

비밀번호 설정 후 Done, 만약 비밀번호를 root로 설정 시, 너무 짧다고 경고가 나옴, Done 다시 누르면 정상 설정 완료

 

계정 생성 선택, 필수사항 아님

 

계정과 계정의 비밀번호 설정 후 Done, 가끔 다른 Linux에서는 여기서 생성한 계정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경우가 있음(이유 알수 없음), 따라서 계정이 없어 넘어가지지 않는 Linux가 있다면 test 생성 후 추후 계정 삭제로 처리

마찬가지로 비밀번호 짧아서 에러나는 경우 Done 한번 더 눌러서 pass 가능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Reboot 버튼 클릭

 

라이선스 동의를 위해 선택

 

I accept ~ 선택 후 Done

 

이후 FINISH CONFIGURATION 클릭

 

메인화면, root 계정으로 접속하고 싶다면 Not listed? 클릭하여 접속

 

각 계정 처음 접속 시 설정화면, 대부분 다 Next 눌러도 무방, 언어 선택 후 Next

 

키보드 선택 Next

 

위치 관련 설정, 사용 시 Next

 

온라인 계정 연결, Skip

 

Start 선택

 

시작 도우미, X 클릭하여 종료

 

메인화면

+ Recent posts